3. ip와 port
1) id : 인터넷에서 컴퓨터 또는 기기들이 서로를 식별하고 통신하기 위한 주소
=> ip를 알면 서버를 찾을 수 있음
- ip는 서버를 찾기 위한 번호
- 서버를 이용하려면 ip + port 번호 까지 알아야함
2) port : 그 서버에서 운용되고 있는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번호
ex. ip == 백화점
port == 각자 다른 물건을 살 수 있는 매장
ex. 웹 브라우저 주소
https://www.naver.com
www.naver.com -> ip를 쉽게 알아보기 위해 이름표를 붙인 것(DNS)
https:// -> 서버의 443번 포트를 사용하기 위한 입력
스프링 부트 서버는 기본값 8080포트 사용 -> 얼마든지 변경 가능
'Spring 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 Boot] 2.5.개념 - 백엔드 개발자의 업무 / 백엔드 프로그래밍 언어 / 자바 애너테이션(Annotation, @) (0) | 2024.08.19 |
---|---|
[Spring Boot] 2.4.개념 - 라이브러리(library)와 프레임워크(framework) (0) | 2024.08.19 |
[Spring Boot] 2.2. 개념- 데이터베이스(Database) (0) | 2024.08.19 |
[Spring Boot] 2.1 개념 - 서버(server)와 클라이언트(client) (0) | 2024.08.19 |
[Spring Boot] 1. 환경설정(인텔리제이 설치 + 프로젝트 생성 + 환경설정) (0) | 2024.08.19 |